Skip to menu

안녕하세요?


제가 한편의 논문을 준비중입니다.


생존분석에서 단계적 회귀를 거쳐 Final model 까지 얻어 Hazard ratio도 잘 구할 수 있었습니다.


다만, 연속형 변수는 maxstat.test() 함수를 사용하여 cutoff value 를 자동으로 얻는 다고 알고 있지만, 이렇게 구하면 Hazard ratio 가 200넘게 측정되는(무한대까지도) 오류가 나타났습니다.


그러나 ROC curve 를 이용하여 변수마다 cutoff value를 따로 구하여 단계적 회귀를 시행하니 Hazard ratio 에 오류는 없었습니다.


질문1.

생존분석은 로지스틱회귀분석과는 달리 생존기간이 포함되는데 생존분석에서도 ROC curve 에 따른 cutoff value 를 이용하여 결과를 내도 되는 것인지 여쭙니다.

실제 몇몇 논문은 이와 같이 결과를 내고 있었습니다.

survival ROC 라는 개념을 도입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.


질문2.

제시해주신 maxstat.test() 함수에 따른 계산된 cutoff value를 이용했을 때 Hazard ratio 오류(무한대)를 교정할 방법은 없는 것인지 여쭙니다.


질문3.

SPSS Cox 비례위험과 비교하여 Final model 에서 선출된 설명변수가 다르며, 또한 그 수치 Exp(B)와 R통계에서의 Hazard ratio가 다른 건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견을 여쭙니다.


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