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교수님
web R 서버에서 survival tree 를 만드는 RPA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.
여기서 사용한 분석 결과를 논문에 싣고자 하는데, 본문에 인용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?
그리고 분석 관련 또 궁금한 것이 있어 여쭙니다..
cox model 에서 MVA 를 별도로 수행했고, 그 때 유의한 인자들이 a, c, d 가 나왔는데,
RPA model 를 했더니 tree 에서 유의한 predictor 가 뽑혀나온 것이 a, b, d 였습니다.
즉 b 인자는 UVA, MVA 모두에서도 유의한 인자가 아니었는데 RPA model 에서는 유의한 결정인자로 뽑혀나왔습니다..
이렇게도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일까요?
cox 결과와 RPA 결과를 모두 다 논문에 실어도 되는 것일지 고견을 여쭙니다.
늘 감사드립니다.
댓글 2
-
cardiomoon
2022.05.24 11:50
-
곰곰11
2022.05.24 16:36
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
알려주신 R package 와 함수를 사용한 것으로 인용하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
---|---|---|---|
1119 | drawModel 문의드립니다. [3] | sophiachoi | 2022.08.30 |
1118 |
생존곡선에서 시작점의 값이 없는 문제관련 문의
[1] ![]() | 꾸이뭉 | 2022.08.19 |
1117 |
후원금 지급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.
[8] ![]() | 귤귤 | 2022.08.17 |
1116 |
regression analysis 문의
[1] ![]() | caesar | 2022.08.16 |
1115 | regression 시행하려고 하면 에러가 뜹니다. [2] | caesar | 2022.08.10 |
1114 | ROC 비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!(delong's test) | 나현둥 | 2022.08.09 |
1113 |
안녕하세요교수님! VIF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.
![]() | kms9057 | 2022.08.08 |
1112 | cox 에서 AIC모델 구하는 방법이 있나요? [1] | 쥬쥬즈주 | 2022.08.03 |
1111 | PSM 중 server disconnected [3] | joonho | 2022.08.01 |
1110 | 서로 다른 set 에서의 kappa 값 비교 | papahong | 2022.07.30 |
1109 | PSM에 대하여 [1] | 김습습 | 2022.07.29 |
1108 |
엑셀의 index 기능을 R 에서 구현하려고 합니다
![]() | emilien | 2022.07.28 |
1107 |
survival 분석 중 PPT 다운로드 오류
![]() | 곰곰11 | 2022.07.26 |
1106 | 결과 ppt 다운로드 중 오류발생문제 [2] | 곰곰11 | 2022.07.25 |
1105 | Control/experimental Group이 있을 때 유의미한 결과 도출 방법 [3] | 민됴 | 2022.07.25 |
1104 | Cox uni multivaraite [2] | zsdfa | 2022.07.14 |
1103 | 생존분석 문의드립니다 [1] | 최홍재 | 2022.07.13 |
1102 | 인용 관련하여 [1] | kms9057 | 2022.07.12 |
1101 | 메타 회귀 분석 시 ggplot 출력에 관해 문의드립니다. | endostat | 2022.07.09 |
1100 |
생존곡선에서 색깔 변화 문의드립니다.
![]() | 케로스 | 2022.07.09 |
1. survival tree에는 내부적으로 party 패키지의 ctree()함수를 사용합니다. 다음과 같이 인용하시면 됩니다. 이 정보는 R에서 citation("party")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.
Torsten Hothorn, Kurt Hornik and Achim Zeileis (2006). Unbiased Recursive Partitioning: A
Conditional Inference Framework.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, 15(3), 651--674.
2. Cox regression과 party() 패키지의 ctree() 는 다른 통계적인 방법이므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.
3. 논문에 실을지 여부는 저자가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.